티스토리 뷰

반응형

 

 

1. 김치양의 생애

 

김치양은 고려 전기의 문신, 무신, 권신, 정치가로 본관은 동주로 김행파의 후손이며, 목종의 모후 헌애황후 황보 씨의 외척입니다.

《생애》

김치양은 969년(경종 14년)에 서흥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가계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지만, 태조 왕건의 공신 김행파의 후손으로 추정됩니다.

김치양은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영민하여 학문에 뛰어났으나 성품이 간교하고 교활하였으며 재주와 용력이 뛰어났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10세에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고 이후 여러 관직을 거쳐 995년(성종 14년)에 우복야 겸 삼사사에 임명되었습니다.

997년(성종 16년), 성종이 죽고 목종이 즉위하자, 헌애황후가 섭정을 하면서 김치양은 권력을 장악하게 되었는데 김치양은 헌애황후와의 친분을 바탕으로 조정의 실권을 장악하고, 자신의 측근들을 요직에 앉혔습니다.

김치양은 전횡을 일삼으며 백성들을 수탈하였고. 또한, 자신의 아들을 왕위 계승자로 세우려고 하였습니다. 이에 목종은 김치양을 제거하려 하였으나, 헌애황후의 반대에 부딪혀 뜻을 이루지 못하였습니다.

《김치양의 난》


김치양의 난은 1009년(목종 12)에 발생한 고려의 내란입니다. 김치양은 천추태후의 총애를 바탕으로 권력을 장악하고, 목종을 살해하여 자신의 아들을 왕위에 올리려는 음모를 꾸몄습니다.

김치양은 1009년 7월, 목종을 살해하기 위해 대궐에 불을 지르고, 왕이 숨어 있는 곳을 습격했습니다. 그러나 목종은 가까스로 목숨을 건졌고, 강조가 이끄는 반란군에 의해 김치양은 처형되었습니다.

김치양의 난은 고려의 역사에서 최초로 권신이 일으킨 내란입니다. 이 난으로 인해 천추태후는 실각하고, 목종은 폐위되었고 또한, 왕권이 약화되고, 지방 호족의 세력이 강화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김치양의 평가》

김치양은 고려의 대표적인 권신으로, 전횡과 사치로 악명이 높았습니다. 그러나, 그의 능력은 뛰어났던 것으로 평가됩니다. 김치양은 문무를 겸비한 인물로, 정치, 경제, 군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뛰어난 재능을 발휘하였고  또한, 외교에도 뛰어나 고려의 국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였습니다.

김치양의 난은 고려의 정치에 큰 혼란을 가져왔습니다. 그러나, 이 난을 계기로 고려의 권신들의 전횡이 약화되고, 귀족들의 정치 참여가 확대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2. 천추태후와 김치양의 정치적 동맹

 

김치양은 고려 전기 목종대에 반란을 일으킨 권신입니다. 승려 행세를 하면서 천추궁에 출입하며 천추태후와 추문을 일으켰는데, 성종이 즉위하면서 유배되었다가, 목종이 즉위하면서 천추태후가 권력을 장악한 이후 관료의 인사권을 장악하였습니다.

김치양은 태조 왕건의 공신 김행파의 후손일 수 있으며, 목종의 어머니인 천추태후의 외척입니다. 천추태후는 김치양을 불러들여 총애하며 함께 권력을 행사했습니다. 천추태후의 원찰로 개경에 화엄 진관사가 창건되었고, 그 안에 9층탑이 건립되었습니다.

천추태후는 김치양과의 사이에 아들이 태어나자 목종의 후계자로 만들려 하면서 조카인 대량원군(대량원군, 뒤의 현종)과 갈등했습니다. 사서에 의하면 대량원군을 꺼려 승려로 만들고, 누차 해를 끼치려 했다고 합니다.

1009년(목종 12)에 천추전이 불타면서 정변이 발생했습니다. 대량원군을 중심으로 한 신진 세력은 천추태후와 김치양을 축출하고, 목종을 폐위하고 현종을 즉위시켰습니다. 김치양은 체포되어 참수되었습니다.

김치양은 천추태후와의 관계 때문에 역사에 오래도록 부정적인 인물로 기록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김치양의 정치적 역량과 야망을 재평가하는 시각도 있습니다. 김치양은 서경 세력에 속해 있었고, 목종대 종교와 신앙을 바탕으로 통치하려고 하였다는 점에서 고려 중기의 정치적 변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김치양과 천추태후의 관계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습니다. 두 사람이 실제로 사통 했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두 사람의 정치적 동맹 관계는 의심할 여지가 없습니다. 천추태후는 김치양을 통해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고, 김치양은 천추태후의 후원으로 자신의 정치적 야망을 실현하려 했습니다. 두 사람의 관계는 고려 중기의 정치적 혼란과 변화를 상징하는 사건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2023.07.14 - [역사] - 여걸 천추태후-김치양과 사통

2023.10.27 - [맛집] - 전국 10대 베이커리 맛집 베스트 5

2023.11.11 - [생활소식] - 2024년 연말정산 미리보기 및 달라진점

2023.10.20 - [자동차] - 속도위반 카메라 낱낱이 파헤치기

2023.10.31 - [자동차] - 누구나 실수하는 셀프주유 실수 6가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