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역사

백제의 마지막 왕-망국의 주범 의자왕

만수르재윤 2023. 6. 30. 20:08
반응형

 

백제의 마지막 왕인 의자왕은 매우 총명한 왕으로 ‘빼어나게 용맹스러웠으며 담대한 결단력이 있었다’고 '삼국사기'에 기록되어 있다.

‘해동증자’라(효를 강조했던 중국의 사상가 증자에 빗대어 부른 말) 불리며 성군 소리를 들었고, 멸망하기 불과 5년 전만 해도 신라를 공격해 30여 성을 빼앗았다는 기록이 전할 만큼 적극적인 정복사업을 벌이던 의자왕(?~660, 재위 641~660)이 13만 대군 나, 당연합군의 침입을 받고는 무기력하게 700여 년의 백제가 멸망하였다.

[삼국사기]에 전하는 대로 음란과 향락에 빠져 정사를 등한시하고 간신들에게 놀아났던 것인가???

 

의자왕은 무왕의 맏아들로 용감하고 담력이 뛰어나 일찍부터 능력을 인정받았다. ‘서동요’로 널리 알려진 서동과 선화공주의 유명한 로맨스를 기록한 [삼국유사]는 서동이 백제 무왕이고 선화공주는 신라 진평왕의 셋째 딸이라 했다. 그렇다면 선화공주가 의자왕의 어머니인가 라는 의문이 든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생모에 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는다.

의자왕이 즉위 초기 정치적 입지가 취약했던 이유가 외가가 적국인 신라이기 때문이고, 유난히 적극적으로 신라를 공격한 것이 그에 대한 반발이라고 해석하기도 한다. 그러나 [삼국유사]를 제외한 다른 기록에서는 진평왕의 딸로 천명과 덕만 두 명의 이름만 기록했을 뿐 선화공주의 존재에 대해 언급해 놓은 것을 찾아볼 수 없다. 선화공주라는 인물은 존재했으나 신라 진평왕의 딸이 아니라 익산 지역 유력한 호족의 딸이 아니었을까 하는 주장이 존재하는 것도 그러한 이유에서다.

의자왕이 태자에 책봉된 것은 632년(무왕 33년)의 일이다. 정확한 출생 연도가 전하지 않지만 아들의 나이로 추정해 보건대 30대 중반이 넘어서야 태자로 책봉되었다. 의자왕의 출생연도는 확인되지 않지만 1920년 중국 뤄양[洛陽]의 북망(北邙)에서 발견된 ‘부여융묘지석(扶餘隆墓誌石)’에는 그의 넷째 아들인 융이 682년에 68세의 나이로 죽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이를 기준으로 추산하면 의자왕은 왕위에 올랐을 때 적어도 40세는 넘은 나이였을 것으로 보인다.

 [삼국사기]에 ‘부모에게 효도하고 형제에게 우애가 있어 그때 사람들이 해동의 증자라고 일컬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즉위하기 전까지 자신을 최대한 낮추고 주변 사람들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해 당시 왕족과 귀족들 사이에서 흠잡을 데 없는 평판을 얻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증자는 공자의 제자 가운데 한 사람으로, 부모에게 극진히 효도했다는 인물이다.

 

641년 왕위에 오른 의자왕은 즉위한 이듬해 어머니가 죽자 동생인 교기와 여동생 4명 등 40여 명을 섬으로 추방하는, 전격적인 숙청을 단행했는데 자세한 내막은 전하지 않지만 태자 책봉이 늦었던 원인과 관련이 있었을 것이라 추측한다. 즉 자신의 즉위를 반대했거나 그 원인이 되었던 인물들을 제거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의자왕은 642년에 직접 각 주와 군을 돌아보면서 백성들을 위로하고 죄수들을 대규모로 사면했다.

그렇게 내부의 권력 기반을 다진 뒤, 외부적으로는 연이은 승전고를 울리며 자신의 역량을 과시했다. 그해 직접 군사를 이끌고 신라를 공격해 미후성 등 40여 성을 빼앗았고, 바로 다음 달 장군 윤충을 보내 신라의 전략적 요충지인 대야성(지금의 합천)을 공격해 성주 품석을 죽이고 성을 함락시키는 등 신라를 큰 곤경에 빠뜨렸다.

643년(의자왕 3) 겨울에도 의자왕은 신라의 당항성(黨項城, 지금의 경기도 화성)을 공격하려 했으나, 신라가 당나라에 구원을 요청하자 군대를 철수시켰다.

그런데 문제는 백제의 공격으로 죽은 대야성의 성주 품석이 김춘추의 사위이고, 이 싸움의 와중에서 김춘추의 딸인 고타소가 죽었다는 데 있었다. 딸의 사망 소식을 들은 김춘추는 기둥에 기대서서 종일토록 눈을 깜빡이지 않고, 사람이나 물건이 그 앞을 지나가도 알지 못할 정도로 매우 슬퍼했다. 그러고는 “슬프다. 대장부가 되어 어찌 백제를 멸하지 못하랴.”며 김춘추는 백제 멸망에 온 힘을 쏟기로 결심했다고 전한다. 그 뒤 김춘추는 고구려, 왜 나라, 그리고 당나라를 직접 방문하며 목숨을 건 외교전을 벌인 끝에 결국 당나라와 군사연합을 맺는 데 성공한다. 비록 당나라가 김춘추의 설득에 신라와 군사 연합을 맺기는 하였지만 이전까지의 백제와는 관계도 나쁘지 않았다. 의자왕은 집권 초기 외교에도 탁월한 수완을 보였다.

중국의 영토 확장을 사전에 막고 신라를 압박할 목적으로 거의 해마다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려 했다. 즉위한 해부터 5년 동안 계속해서 당나라에 조공을 하며 관계를 다졌고, 왜나라 와도 우호관계를 유지했다. 또한 고구려와도 힘을 합쳐 신라를 군사적으로 압박했다. 그러나 대외적인 화친과는 달리 백제와 당나라는 때에 따라 서로를 견제하기도 했다. 

재위 3년인 643년에는 고구려와 화친하여 신라의 당항성을 공격했다. 특히 당항성은 신라와 당나라의 해로를 연결해 주는 요충지였다. 당항성이 공격당하자 신라는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구원을 청했고, 이 소식을 들은 의자왕은 곧 군대를 철수시켰다. 그리고 이듬해 정월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관계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등 국제관계에 민첩하게 대응했다. 645년에는 당 태종이 고구려를 정벌하려고 신라의 병력을 징벌한다는 말을 듣고 그 틈을 타 신라의 7개의 성을 공격해 빼앗았고,

신라는 김유신을 상주장군으로 임명해 반격해 왔다.

655년(의자왕 15년) 가을에는  고구려∙말갈과 연합해 신라의 30여 개 성을 쳐부수는 등 군사적인 능력도 탁월했다. 의자왕 집권 전반기 백제와 신라는 곳곳에서 치열한 접전을 벌였으나 전쟁의 주도권은 분명 백제에게 있었다.

 

 

 

그러나 집권 15년을 넘기면서 의자왕의 치세에 변화가 일어난다. 《삼국사기》에는 655년(의자왕 15) 이후에 백제에 수많은 변고가 나타나 나라의 멸망을 예고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해 태자궁을 수리했는데 대단히 사치했다는 기록이, 이듬해 왕이 궁인들과 더불어 주색에 빠져 마음껏 즐기고 술을 마시기를 그치지 않았다는 기록도 찾아볼 수 있다. 또한 657년(의자왕 17년)에는 왕의 서자 41명을 좌평으로 임명하고 각기 식읍을 내려주기도 했다(이 기록으로 보아 자녀가 무척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왕자들을 중심으로 친위체제를 구축해 왕권을 강화하려는 조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렇듯 의자왕의 치세가 흐트러진 이유에 대해서는, 은고라는 여인이 의자왕의 마음과 함께 권력을 거머쥐면서 벌어진 전횡이라는 주장도 있고, 권력 기반을 다진 의자왕이 외형적으로 안정된 왕권에 안심하여 긴장감이 풀어진 데에서 그 원인을 찾기도 한다.

한편, 655년 여름에는 붉은말이 북악(北岳) 오함사(烏含寺)로 들어와 불당을 돌면서 울다가 죽는 일이 일어났고, 659년(의자왕 19)에는 흰 여우가 궁궐로 들어와 상좌평(上佐平)의 책상에 앉는 일이 일어났다. 태자궁에서는 암탉이 박새(小雀)와 교미하는 일도 일어났고, 왕성 서남쪽의 사비하(泗沘河)에서는 크기가 3장(丈)이나 되는 물고기가 떠올라 죽었고, 가을에는 생초진(生草津)에 키가 18척(尺)이나 되는 여자의 시신이 떠내려왔다. 궁궐 뜰의 홰나무(槐樹)가 사람의 통곡소리를 내며 울었고, 밤에는 왕궁 남쪽의 길에서 귀신이 통곡하는 소리가 들렸다. 660년(의자왕 20) 봄에는 사비의 우물과 사비하의 물이 붉게 변했고, 서해에 작은 물고기들이 떼로 죽어서 떠올랐다. 여름에는 두꺼비 수만 마리가 나무꼭대기로 몰려들었고, 사비의 주민들이 까닭도 없이 놀라서 달아나다가 1백여 명이 쓰러져 죽는 일도 일어났다. 음력 5월에는 천왕사(天王寺), 도양사(道讓寺), 백석사(白石寺)에 벼락이 쳤으며, 음력 6월에는 궁궐에 귀신이 나타나 백제가 망한다고 크게 외치다가 땅속으로 들어가는 괴이한 일도 있었다.

이를 그대로 믿을 수는 없다. 역사는 승자의 기록인 법, 신라에게는 백제가 멸망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들이 필요했고 특히나 백제 말의 역사는 그렇게 각색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의자왕의 왕권강화에 귀족층들이 반발하고 이로 인해 백제 지배층이 흔들리고 있었다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656년(의자왕 16) 좌평(佐平) 성충(成忠)이 왕에게 간언을 하다가 투옥되어 목숨을 잃었고, 660년에는 좌평 흥수(興首)가 귀양을 살고 있었다는 기록으로 볼 때 귀족사회의 반발도 컸던 것으로 보인다. 

 

백제가 이러한 분열을 겪고 있을 무렵 나, 당연합군이 침입했다. 13만 대군을 이끈 소정방이 바다를 건너 인천 앞바다에 있는 덕물도에 정박했고, 김유신이 이끈 5만의 신라군은 백제의 동부 전선을 빠른 속도로 돌파했다. 예상치 못한 나, 당연합군의 공격에 백제의 조정은 대책을 찾지 못한 채 우왕좌왕했다. 의자왕은 우선 계백에게 결사대 5천을 거느리고 황산에 가서 신라군과 싸우게 했다. 백제군은 열 배가 되는 적들과 만나 네 번 접전하여 네 번 다 이겼으나, 군사가 적고 힘이 모자라 마침내 패전하고 계백은 전사했다.  당나라의 침공 소식을 듣고 대책을 논의할 때 귀양을 살고 있던 좌평 흥수는 백강(白江, 지금의 백마강) 하구의 기벌포(伎伐浦)와 사비성 동쪽의 내륙 통로인 탄현(炭峴)이 요충지이므로 그것을 지켜 당나라와 신라 군대의 진입을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의자왕은 이를 따르지 않았다. 그래서 당나라와 신라 군대가 백강과 탄현을 지난 뒤에야 뒤늦게 계백 장군의 결사대를 보내 싸우게 했으나 병력 부족으로 패할 수밖에 없었다.

이후 당나라 군사까지 사비성에 들이닥치자 의자왕은 태자 효와 함께 북쪽 변읍으로 달아났다.

이때 달아난 곳이 웅진성이었고, 이곳은 선왕인 무왕 때 임시 수도로 쓰이기도 했던 전략적 요충지이다. 게다가 가까이 임존성이 있어 두 성이 서로 지원하며 적의 공격을 막아낼 수 있을 것이라 판단했던 듯하다. 실제로 임존성은 백제 멸망 후 부흥 세력들이 나, 당연합군에 맞서 3년간이나 지켜낸 성이기도 하다. 의자왕은 웅진성으로 들어가 지방 군을 모으고 적들이 차지한 사비성을 되찾으려 했을 것이다. 그러나 웅진성으로 들어간 지 닷새 만에 의자왕은 항복을 하고 만다. 그 닷새 동안 웅진성에서는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의자왕의 둘째 아들인 태가 사비성에 남아 성을 지켰으나 넷째 아들인 융이 성을 나가 당나라에 투항하면서 사비성은 함락되었다. 웅진성에서 당나라 군대와 맞서던 의자왕도 전투에 패하면서 항복했다. 당나라의 소정방(蘇定方)은 의자왕과 태자 효, 왕자 태, 융, 연(演) 및 대신과 장병 88명, 주민 12,807명을 당나라로 끌고 갔다. 그리고 백제 지역에 웅진(熊津), 마한(馬韓), 동명(東明), 금련(金漣), 덕안(德安) 등 5개의 도독부(都督府)를 설치하고, 좌위낭장(左衛郞將) 왕문도(王文度)를 웅진도독(熊津都督)으로 삼았으며 낭장(郞將) 유인원(劉仁願)에게 사비성을 지키게 했다.

 

2008년 의자왕의 마지막에 대한 단서를 주는 유물 하나가 발견되어 역사학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중국 북망산에서 예식진이라는 사람의 무덤과 묘비가 출토된 것이다. 그는 당나라 좌위위 대장군에 오른 사람으로 백제 웅진 출신이라고 묘비에 기록되어 있었다. 그런데 할아버지 대부터 좌평을 지냈던 백제의 귀족 출신으로 당나라의 대장군까지 오른 사람인데 우리 역사 어디에서도 그의 이름은 찾아볼 수 없었다. 역사학자들은 [구당서] ‘소정방’ 편에서 다시 그 이름을 찾아냈다.

 ” -그 대장 예식이 의자왕을 데려와서 항복했다.

여기서 예식은 예식진과 동일 인물로 추정된다. 그러니까 당나라에 항복한 주체가 의자왕이 아니라 예식이라는 말이다. 이 충격적인 사실은 신채호의 [조선상고사]에 전하는 백제 멸망 과정과도 이어진다.

“웅진의 수성 대장이 의자왕을 잡아 항복하라 하니 왕이 동맥을 끊었으나 끊기지 않아, 당의 포로가 되어 묶이어 가니...”

 

이 두 기록은 의자왕이 스스로 당나라에게 항복했던 것이 아니라, 믿었던 신하에게 배신당했음을 증언한다. 의자왕이 예식진이 지키고 있는 웅진성으로 들어왔는데, 예식진이 의자왕을 배신하고 당에 항복했다는 말이다. 포로가 된 의자왕은 당의 소정방과 신라 무열왕에게 술잔을 올리는 굴욕을 겪은 뒤, 태자 효, 왕자 융∙연 및 대신과 장병, 그리고 백성 1만 2000여 명과 함께 당나라로 압송되어 그곳에서 파란만장한 삶을 마감했다. 700년 역사의 백제는 이렇게 무너지고, 의자왕은 망국의 주범이 되었다.

당나라로 압송된 의자왕은 그해에 사망했다. 《삼국사기》에는 병으로 죽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죽음의 정확한 원인은 확인되지 않는다. 의자왕이 죽자 당나라 고종은 그를 금자광록대부위위경(金紫光祿大夫衛尉卿)으로 추봉하고 옛 신하들의 문상을 허락했다. 그리고 뤄양에 있는 오(吳)와 진(陳)의 마지막 왕들인 손호(孫皓, 재위 264~280)와 진숙보(陳叔寶, 재위 582~589)의 무덤 곁에 의자왕을 묻게 하고 비석도 세웠다. 그러나 의자왕 무덤의 자세한 위치는 확인되지 않고 있으며, 유물도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한 나라를 멸망에 이르게 한 왕에 대한 평가가 호의적이기는 어렵다. 그런데 의자왕은 유독 사치와 향락에 빠져 백제를 멸망으로 이끌었다는 비난을 한 몸에 받아왔다. 백제인의 시각에서 서술한 역사서가 전하지 않고, 백제와 적대관계였던 신라에 흡수 통합된 뒤 신라인의 시각에서 전하는 적장의 모습이기에 부정적인 것은 어쩔 수 없다 하더라도 의자왕에 대한 왜곡의 정도가 유난히 심했다.

의자왕 하면 가장 먼저 떠올려지는 것이 무엇인가 질문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삼천궁녀라 답할 것이다. 의자왕의 궁녀였던 3,000명의 여성들이 사비성이 함락되자 낙화암에 몰려가 뛰어내리는 장면이 마치 꽃잎이 흩날리는 것 같았다는 전설은 매우 인상적이다. 그러나 당시 사비성의 인구가 5만 명 정도로 추산되고, 또 조선시대에도 궁녀의 수가 최대 600명 정도였다는 것으로 미루어볼 때 사비성에 3,000명의 궁녀가 있었다는 건 믿기 어렵다. 또한 당시 기록 가운데 삼천궁녀에 대해 언급한 부분은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

조선 중기 시인이었던 민제인의 [백마강부]라는 시에서 ‘궁녀 수 삼천’이라는 말을 처음 찾을 수 있는데, 이는 문인들이

문학적 상징어로 이해해야 한다. 이후 지금까지 대중가요에 삼천궁녀를 소재로 한  수십 곡의 노래들이 불리면서 의자왕은 3,000명이나 되는 궁녀를 거느린 방탕한 왕으로 왜곡되었고 대중들은 기정사실화 되어 버린 내용으로 받아들였다.

그러니까 의자왕의 삼천궁녀는 방탕했던 호색 군자라는 의자왕의 이미지를 완성시킨 후대인들의 상상력이 아니었을까?

 

 

2023.06.29 - [역사학] - 일제강점기 마라톤 영웅-손기정

2023.06.28 - [역사학] - 고구려의 영웅-광개토대왕

2023.06.27 - [역사학] - 연산군의 여자-장녹수

2023.06.23 - [역사학] - 조선의 역사-홍국영 몰락과 죽음

2023.06.21 - [역사학] - 조선의 역사-정조의 오른날개 홍국영

2023.06.19 - [역사학] - 조선의 역사-흥선대원군의 집권기

2023.06.15 - [역사학] - 조선의 역사-후기

2023.06.10 - [역사학] - 조선의 역사-중기

2023.06.08 - [역사학] - 조선의 역사 전기

 

728x90
반응형